명 리 약 언 강의

제대로 보는 명리약언-식신(食神)을 살펴보는 법

원제 임정환 | 2012-03-14 13:16:17

조회수 : 4,766

제 22편
식신(食神)을 살펴보는 법

식신(食神)을 살펴보는 법은,
가령 용식신(用食神)하여 제살(制殺)하면 식신(食神)과 칠살(七殺)을 서로 비교하되,
칠살(七殺)이 많고 식신(食神)이 적으면 마땅히 식신(食神)을 생부하고 칠살(七殺)은 억제하여야 하며,
식신(食神)이 많고 칠살(七殺)이 적으면 마땅히 칠살(七殺)을 생부하고 식신(食神)을 억제하여야 한다.

만약 가히 극제할 만한 칠살(七殺)이 없으면 단지 식신(食神)으로 취용(取用)하는데,
혹 당령(當令)하였는데 도움이 있거나, 혹은 성국(成局)하였는데 세력이 있으면 모두 오묘하다.
그러나 반드시 재신(財神)을 생출(生出)하여야 하니, 혹 원국(原局)에 재(財)가 있거나 혹은 운(運)이 재지(財地)로 행하여야 비로소 유용(有用)하다.
식신(食神)은 정관(正官)과 서로 비슷하니, 성정이 화순(和順)하고 길다흉소(吉多凶少)한다.

구서(舊書)에서는 ‘단지 하나만이 있어야 한다’라고 하는데, 이것은 전혀 그렇지 않다.
가령 甲日이 丙火를 얻었는데 다시 巳가 나타났거나, 乙日이 丁火를 얻었는데 다시 午가 나타났으면 더욱 아름답다.
설령 甲日이 혹 두 개의 丙火를 얻었거나 혹은 두 개의 巳를 얻었고, 乙日이 혹 두 개의 丁火를 얻었거나 혹은 두 개의 午를 얻었다고 할지라도 또한 어떠한 장애가 있을 것인가?
걱정스러운 바는 일주가 쇠약(衰弱)하여 식신(食神)을 감당하지 못하는 것일 뿐이니, 고로 먼저 일주(日主)의 강약(强弱)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데, 일주(日主)와 식신(食神)이 모두 왕하면 가히 귀격(貴格)이다.

‘식신(食神)이 유기(有氣)하면 재관(財官)보다 낫다’고 말하는 것도 또한 한 쪽으로 치우친 논리이다.

식신(食神)은 편인(偏印)이 극하는 것을 가장 두려워하는데, 편재(偏財)가 있으면 또한 두려워하지 않는다.

만약 만국(滿局)이 식신(食神)이고 일주가 무기(無氣)하면 또한 종(從)할 수 있는데,
이것은 아생지신(我生之神)이니 종살(從殺)과 비교하면 더욱 순수(純粹)하고, 종재(從財)와 비교하면 비슷하게 아름다우니, 종(從)하지 않는다는 구설(舊說)에 구애받아서는 아니 된다.

혹 일주가 태왕(太旺)하여 원국(原局)에 의지할 만한 것이 하나도 없고, 하나 둘의 식신(食神)만이 간략하나마 기상(氣象)을 이루었으면 반드시 식신(食神)이 생왕(生旺)한 운으로 행하여야 오묘하다.
만약 식상(食傷)이 혼잡(混雜)하였는데,
용식신(用食神)하면 상관(傷官)을 제거하여야 마땅하나, 용상관(用傷官)하면 식신(食神)은 제거할 필요가 없다.
식신(食神)은 순수(純粹)하고 상관(傷官)은 박잡(駁雜)하기 때문인데,
정관(正官)은 칠살(七殺)의 혼잡을 받아들이지 않으나 칠살(七殺)은 정관(正官)의 혼잡을 두려워하지 않는 것과 같다.

용식신(用食神)하는데 칠살(七殺)이 나타났으면 비록 상관견관(傷官見官)과는 같지 않다고 할지라도, 그러나 일주를 극상(剋傷)하여 식신(食神)을 감당할 힘이 없게 되고, 칠살(七殺)이 식신(食神)에 대항하여 식신(食神)이 일주를 봉양하지 않게 된다.
주중에 비겁(比刦)이 많을 때만 칠살(七殺)의 극제를 가장 기뻐하고, 용인수(用印綬)하면 도리어 칠살(七殺)의 생을 기뻐할 뿐이다.
그렇지 않으면 정관(正官)이 많이 나타나는 것도 마땅하지 않는데, 하물며 칠살(七殺)이야?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 Fun 다음
Fun 이전 현재페이지1 / 1 Fun 다음
© 원제역학연구원

select count(*) as cnt from g4_login where lo_ip = '3.141.199.122'

145 : Table './wonje2017/g4_login' is marked as crashed and should be repaired

error file : /m/bbs/board.ph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