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의 타고난 팔자와 운명에서의 상관관계
▶역학적으로 볼때 재물이란 제2의 생명이다.
그래서 함부로 생각해선 안된다.
이 세상을 기본적으로 열심히 살아야 겠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내 생명을
함부로 내어 놓으면 안되니 재를 소중히 다루되 가치있게 쓸때, 삶은
더욱 빛나고 윤택해 진다.
☞재의 기질분석
☆정재->▲안정적이고 상식적으로 다룬다.월급,고정적인돈
▲허욕을 부리지 않고 안정적인 기반위에 살아간다.
▲지갑에 돈 없으면 안나간다.
▲사업으로 나아가는 것은 좋지 않다.
☆편재->▲투기적으로 번 돈이나 공금,공격적인일,빌린돈
▲작은 돈에는 매력을 못 느끼고 큰 돈에만 관심
▲나가자,싸우자,이기자.돈을 위해서!
▲인생의 기복 편차가 크다.
☆정편재가 함께 있는 경우
▲정·편재 두가지 요소가 들어있다.
▲밖에서는 크게 쓰고 집안에서는 의외로 아낀다.
▲직업적으로 변화되는 경우가 많다.
▲조직사회에서 일해도 큰 꿈을 꾼다(언젠가는 나도....)
☆재성이 없는 경우(무재사주)
▲재물에 대한 융통성이 없다.
▲명예,학문,종교적인 방향이 큰 무리 없는 삶을 살게한다.
♣기본적으로 어떤 요소를 강하게 타고 났느냐에 따라서 자기 직업을
원만하게 이끌수 있다. 그리고 돈 창고의 성향에 따라, 이루는 차이 는
달,띠에 의해 주변상황이 어떻게 간섭하느냐가 관건이다
팔자에 타고난 인자를 잘 활용하면 직업을 쉽게 얻는다. 그렇지 못하면
상당한 세월을 보낸후에야 자기의 패턴에 맞게 이루어진다.
결국 돈을 벌려면 재성과 월지를 잘 살펴서 타고난 패턴을 지키는 것
이 중요하다.
☞재성이 사주내에서 육친적인 활동
월지를 보고 투출되어 있는 십성과 연결해서 분석한다.
예) 甲일간에 월지가 子月(인성)이고 월간이 戊토(편재)면
->인성은 글과 학문에 연관된 사업,자격증을 따서하는 사업.
교육사업,학원사업
십성에 따른 직업분석
정재:월급재산,안정된 재산,고정사업
편재:사업재산,유동적 재산,투기적인 재산,유통업중심
정인:자격증,글,학문,교육에 관련된 학원사업
정재:유통중심적인 직업(단순유통)
비견:경쟁이 많이 따르는 유통
겁재:아주 경쟁이 치열한 유통이나 사업분야,특별한 기술
편재:유통업 중심으로 직업 활동
식신:제조 생산,교육,축산,원예 계통(가르치고 기르는 직업)
상관:유흥성,오락성,예술성,전문성 등 (부가가치를 올리는 직업)
편관:큰 조직 사회와 관련된 사업(납품사업,인허가사업,대리점사업등)
정관:정부나 안정된 조직사회와 관련된 사업
편인:팔짱을 끼고 안 움직이고 돈을 번다(특별한 재주나 자격증,기술)
明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