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산역.81괘사
페이지 정보
본문
# 一中 右.左 풀이 
서결예승(庶決豫升):모든 것을 결정하여 미리 오르는 괘의 상. 
복과의과(伏過疑寡):엎드림이 지나쳐도 의심이 적은 괘의 상. 
서괘(庶卦;1-1):서물비흥(庶物丕興) 종자여운(從者如雲) 
**모든 물질이 크게 일어나니 따르는 자가 구름과 같으리라. 
결괘(決卦:1-2)   결자재아(決者在我) 갑탁을맹(甲柝乙萌) 
**결정하는 일은 나에게 있다.씨앗의 껍질이 벌어지고 싹이 나오는 격이다. 
예괘(豫卦:1-3) 예이유득(豫而有得) 화원유영(花院柳營) 
**미리 얻음이 있으나 꽃집에 병영(兵營)을 설치할 격이다. 
승괘(升卦:1-4) 승피평원(升彼平原)  금탕만리(金盪萬里) 
**저 평원에 올라 쇠배를 끌고 만리를 가야할 격이다. 
@1~5 지어지선(止於至善)**지극히 착한데 그치라. 
복괘(伏卦:1-6) 복이유존(伏而猶尊)  비불가유(卑不可踰) 
**복종해도 오히려 높으니 낮다하여 가히 넘지 못하리라. 
과괘(過卦:1-7)  과자손지(過者損之)  내합어중(乃合於中) 
**지나침을 덜어내야 이에 중도에 합하리라. 
의괘(疑卦:1-8)  의자계지(疑者稽之)  장후유명(將後有明) 
**의심스러운 바를 살핀 뒤라야 장차 밝음이 있으리라. 
과괘(寡卦:1-9) 과능승중(寡能勝衆)  유신재중(有信在中) 
**적음으로써 무리를 이겨냄은 믿음을 둔 중심이 있기 때문이다. 
# 二乾 八卦풀이 
원잠수신 몽한수여(原潛守信 蒙閑須厲):평원에 숨어 분수를
 지키면 미덥고 어리므로 머물러 기다리면 조급한 괘상. 
원괘(原卦:2-1)  원위물기(原爲物基)  수처득안(隨處得安) 
**근원이 만물의 기본이 되니 어디든지 편안함을 얻는다. 
잠괘(潛卦:2-2)  잠재어하(潛在於下)  근심불파(根深不怕) 
**아래에 숨어 있으니 뿌리가 깊어 두렵지 않다. 
수괘(守卦:2-3)  수진어내(守眞於內)  독립하구(獨立何懼) 
**안으로 참을 지키니 홀로 있은들 무엇이 두려울까. 
신괘(信卦:2-4)  신위지덕(信爲之德)  만물병육(萬物竝育) 
**믿음은 지극한 덕이 되니 만물을 아울러 기른다. 
@2~5  봉생마중(蓬生麻中) **쑥이 삼밭에 난 격이라. 
몽괘(蒙卦:2-6) 몽이양지(蒙而養之)  성과장중(聖果藏中) 
**어린이를 기르되 성인이 될 기틀을 지니게 하라. 
한괘(閑卦:2-7)  한자지야(閑者止也)  관교대오(寬敎待悟) 
**막는다는 것은 그치게 할지니 너그럽게 가르치고 깨달음을 기다리라. 
수괘(須卦:2-8)  수아애진(須我愛進)  차서일보(且徐一步) 
**나를 기다려 사랑스레 나아가니 또 더디게 한 걸음이로다. 
여괘(厲卦:2-9)  여매기지(厲邁其志)  편달후자(鞭撻後者) 
**그 뜻이 멀고 급하매 뒤따르는 자를 재촉한다. 
# 三離 八卦풀이 
성충진기 유이친화(成沖振祈 柔易親華): 이루려면 화하고
 떨쳐도 빌어라.  부드럽고 쉬움으로 친하면 윤택할 괘상. 
성괘(成卦:3-1)  성공재하(成功在何)  타산지석(他山之石) 
**공을 이룸이 어디에 있는고, 다른 산의 돌이로다. 
충괘(沖卦:3-2) 충유미명(沖柔微明) 장풍호보(障風護保) 
**화하고 부드러워 적게 밝으매 바람을 막아 보호하도다. 
진괘(振卦:3-3)  진발정신(振發情神)  수덕진업(修德進業) 
**정신을 가다듬어 덕을 닦고 일터에 나아간다. 
기괘(祈卦:3-4) 기원장구(祈願長久)  유지경성(有志竟成) 
**오랫동안 기원하매 뜻한 바가 마침내 이루어진다. 
@3~5  촉명사달(燭明四達) **촛불을 밝히니 사방에 
달하게된다. 
유괘(柔卦:3-6)  유위덕기(柔爲德基)  하강지요(何强之要) 
**온유함이 덕의 기본이 되거늘 어찌 강함이 요긴하리요. 
이괘(易卦:3-7) 이수시변(易隨時變)  하필고집(何必固執) 
**쉽게 때의 변함을 따를 것이니 어찌 기필코 굳음을 잡으려 하는가. 
친괘(親卦:3-8) 친즉이종(親則易從) 유유이위(惟由爾爲) 
**친하면 쉽게 따르니 오직 너로 말미암아 되느니라. 
화괘(華卦:3-9)  화지장실(華之將實)  수불여미(誰不汝美) 
**꽃이 피어 장차 열매 맺거늘 누가 너를 아름답다 아니하리. 
# 四艮 八卦풀이 
견획종교 장흥흔서(見獲從交 壯興欣舒):보고 얻어서 좇아 
사귀어 장하게 일어나되 기쁘게 펴는 괘상. 
견괘(見卦:4-1)   견기도이 견리내지(見豈徒爾 見理乃知) 
**보는 것을 어찌 소흘히 하랴,이치를 보아야 이에 아느니. 
획괘(獲卦:4-2)  획재어사  견성고명(獲在於思 見性顧命) 
**얻음이 생각에 있으니 성품을 보고 명을 돌아보라. 
종괘(從卦:4-3)  종용중도 허심수인(從容中道 虛心受人) 
**조용히 중도로써 마음을 비우고 사람을 받으라 
교괘(交卦:4-4)  교분유도 수접연리(交分有道 須接連理) 
**사귀고 나눔에 도가 있으니 모름지기 접함에 이치에 맞추어라. 
@ 4~5  악전유법(偓佺遺法)  **옛 野仙에 끼친 법이다. 
장괘(壯卦:4-6)  장이임지 수불행덕(莊而臨之 誰不行德) 
**공경으로 임하면 누가 덕을 행치 않으리. 
흥괘(興卦:4-7)  흥운하우 일세진애(興雲下雨 一洗塵埃) 
**구름이 일어 비를 내리매 한꺼번에 먼지와 티끌을 씻어내리라. 
흔괘(欣卦:4-8)  흔영락송 전수심법(欣迎樂送 傳授心法) 
**기쁘게 맞이하고 즐겁게 보내되 심법을 전해 주라. 
서괘(舒卦:4-9)  서소안식 누견척사(舒嘯安息 累遣戚謝) 
**휘파람 불고 편히 쉬니 괴로움이 사라지고 슬픔도 없어지리. 
# 五巽 八卦풀이 
비개진공 장영석미(比開晉公 章盈錫靡)  다같이 통하여 나아
감이 바르다.  밝게 해주고 쌓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쓰러지는 괘상. 
비괘(比卦:5-1)  비물동진 주려우지(比物同進 疇麗于祉) 
**여럿이 함께 나아가나 누가 福에 걸릴는지.  
개괘(開卦:5-2)  개물성무 군자영예(開物成務 君子令譽) 
**만물에 통하여 해야 할 것을 이루매 군자의 영예로움이다. 
진괘(晉卦:5-3)  진전화속 명문일세(晉展化俗 名聞一世) 
**나아가 펴소 풍속을 화하매 이름이 한세상에 날리리. 
공괘(公卦:5-4)  공도심명 백세지사(公道甚明 百世之師) 
**공변된 도리에 심히 밝으매 百世의 스승이라. 
@5~5  신명동서(申命東西)  **命을 동쪽과 서쪽에 펴는 격이다. 
장괘(章卦:5-6)  장명기덕 민구이첨(章明其德 民俱爾瞻) 
**그 덕이 빛나고 밝음이여, 백성이 다 너를 우러러보리라. 
영괘(盈卦:5-7)  영과이후 달우사해(盈科而後 達于四海) 
**못에 물이 가득 찬 후에 바다에 이르리라. 
석괘(錫卦:5-8)  석지백복 유이적공(錫之百福 惟爾積功) 
**백가지 福을 주었음은 오직 네가 공을 쌓았음이로다. 
미괘(靡卦:5-9)  미혹유과 노서천지(靡或有過 怒庶遄止) 
**쓰러짐은 혹 허물이 있음이니 성냄을 빨리 그치라. 
# 六中 上下풀이 
익육상직(益育常直) : 더욱 기르고 항상 곧은 괘상. 
손질혁임(損疾革壬) : 덜어내고 어지럽고 바뀌고 교만한 괘상. 
익괘(益卦:6-1)  익지일궤 구인공완(益之一簣 九仞功完) 
**한 삼태기 흙을 더하면 아홉 길 산을 이룬다. 
육괘(育卦:6-2)  육이성재 필기동량(育以成材 必期棟樑) 
**길러내어 재목을 이루면 반드시 동량(棟梁)을 기약하리. 
상괘(常卦:6-3)  상덕고지 심무이삼(常德固持 心毋二三) 
**떳떳한 덕을 굳게 가졌으니 마음에 둘 셋이 없다. 
직괘(直卦:6-4)  직지기충 뇌정막최(直之其忠 雷霆莫摧) 
**곧은 그 충성이여 우레도 꺾지 못하리. 
@6~5  탱천지주(撐天之柱)  **하늘에 닿을 기둥이다. 
손괘(損卦:6-6)  손지우손 순도이추(損之又損 循道而趨) 
**덜고 또 덜어내어 도에 따라 나아 가리. 
질괘(疾卦:6-7)  질지심란 안서사후(疾之甚亂 安徐思後) 
**빠르면 심히 어지러우니 느긋한 마음으로 뒤를 생각하라. 
혁괘(革卦:6-8)  혁이역명 거모칙당(革以易名 去毛則當) 
**바뀌어 써 이름을 고치니 껍데기를 버려야 마땅하다. 
임괘(壬卦:6-9)  임염추연 인수칭선(壬冉推延 人誰稱善) 
**수염만 다듬으면 누가 좋다하리요. 
# 七震 八卦풀이 
식려허매 용각흡원(飾戾虛昧 用却翕遠):꾸미고 어그러지고 
비우고 어두우며 쓰고 물리치고 모으고 살피는 괘상. 
식괘(飾卦:7-1)  식과어실 반상기진(飾過於實 反傷其眞) 
**꾸밈이 실상에 지나치면 도리어 그 참된 것이 상한다. 
여괘(戾卦:7-2)  여괴지행 무처가용(戾乖之行 無處可容) 
**어그러지는 행실은 어디서나 용납되지 않는다. 
허괘(虛卦:7-3)  허자허지 실자실지(虛者虛之 實者實之) 
**비울 것은 비우고 채울 것은 채우라. 
매괘(昧卦:7-4)  매승어명 휴이물로(昧勝於明 休而勿勞) 
**어둠이 밝음을 이기니 쉬고 수고하지 마라. 
@7~5 치명수지(致命遂志)  **命을 다해 뜻을 이룬다. 
용괘(用卦:7-6)  용재유도 풍인검기(用財有道 豊人儉己) 
**재물을 씀이 도가 있으니 남에게 넉넉히 하고 기신은 검소히 하라. 
각괘(却卦:7-7)  각자각지 척참원유(却者却之 斥讒遠諛) 
**물리칠자는 물리쳐야 하리니,중상하는 자를 물리치면 아첨꾼이 멀어진다. 
흡괘(翕卦:7-8)  흡기양익 람덕이하(翕其兩翼 覽德而下) 
**봉이 그 두 날개를 모으고있다가 덕을 보고 내려온다. 
원괘(遠卦:7-9)  원대기망 반성어궁(遠大其望 反省於躬) 
**그 바람의 원대함이여,몸에 돌이켜 살피라. 
# 八兌 八卦풀이 
신구제약 경분송수(迅懼除弱 競分訟收):서두르고 두려워하고 
구제해야하고 약한 체하고 다투고 나누어 송사하는 괘임. 
신괘(迅卦:8-1)  신회기신 서면입정(迅回其身 庶免入穽) 
**빨리 몸을 돌이키면 거의 함정에 빠지지 않는다. 
구괘(懼卦:8-2)  구이성과 치복지도(懼而省過 致福之道) 
**두려워하고 허물을 살핌은 복을 이루는 길이다. 
제괘(除卦:8-3)  제빈지술 막여관가(除貧之術 莫如灌稼) 
**가난을 막는 길은 벼논에 물을 대는것만 같음이 없다. 
약괘(弱卦:8-4)  약지제강 굴이구신(弱之制强 屈而求伸) 
**약한자가 강한 자를 제어하니 굽힘은 펴짐을 구함이다. 
@8~5  천지월랑(天池月朗)  **백두산 天池에 달빛이 밝다. 
경괘(競卦:8-6)  경이취승 양복탐화(競而取勝 讓福貪禍) 
**다투어 이김을 취함은 복을 사양하고 화를 탐하는 것이다. 
분괘(分卦:8-7)  분이여인 반근지목(分而與人 盤根之木) 
**나누어주는 것은 소반 뿌리의 나무다. 
송괘(訟卦:8-8)  송자공언 대천휴명(訟者公言 待天休命) 
**송사란 공평한 말이니 하늘에 맡기고 명을 기다리라. 
수괘(收卦:8-9)  수방취산 녹재기중(收放聚散 祿在其中) 
**놓음을 기두고 흩어짐을 모으면 복록이 그 가운데 있다. 
# 九坎 八卦풀이 
실빈위견 보지융결(實賓危堅 報止戎結):진실하고 귀빈을 
대하고 위태하고 굳세고 소식을 듣고 고치고 오랑캐를 살피고 베푸는 괘상. 
실괘(實卦:9-1)  실지위물 덕참천지(實之爲物 德參天地) 
**진실이라고 하는 것은 그 덕이 천지와 비등하다. 
빈괘(賓卦:9-2)  빈척외마 선포오민(賓斥外魔 先飽吾民) 
**손님이 외국의 마귀를 물리쳐 먼저 우리 백성을 배부르게 한다. 
위괘(危卦:9-3)  위기재외 망의획금(危豈在外 妄意獲金) 
**위험이 어찌 밖에 있으리요,망령된 뜻으로 황금을 얻었구나. 
견괘(堅卦:9-4)  견욕파야 지신무기(堅欲破也 至信無欺) 
**굳음을 부수고자 할진대 지극한 신념으로 속이지 말지어다. 
@9~5 용택심연(龍宅深淵)  **용이 깊은 못에 거처를 정했다. 
보괘(報卦:9-6)  보문신의 판재이행(報聞信疑 判在爾行) 
**소식을 듣고 믿음을 의심하는 것은 판단함이 너의 행실에 있다. 
지괘(止卦:9-7)  지해지도 친인우직(止害之道 親仁友直) 
**피해를 그치게 하는 길은 어버이가 어질고 벗이 곧아야 한다. 
<SPAN style="FONT-SIZE: 20px; COLOR: #000000; LINE-HEIGHT: 32px; FONT-FAMILY: '바탕'; TEXT-ALIGN: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010-2263-9194
 국민 


	















